[목차]
- 지금 꼭 알아야 할 요약
- SK텔레콤 해킹 사건 정리
- 유심 정보 유출, 왜 문제인가?
- 고객이 지금 해야 할 일
- 잇섭도 비판한 “불편한 가입 조건”
- 왜 논란이 커졌나?
- 유심 보호서비스 가입대상자
- 고객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
📌 지금 꼭 알아야 할 요약
- SK텔레콤, 해킹 최초 인지 후 24시간 이상 신고 지연 → 법 위반 논란
- 유심 정보 일부 유출 정황 확인 → 고객 보안 우려
- 보호 서비스 가입 안 하면 휴대폰 꺼진 사이에 정보 탈취 우려
- 유심 보호 서비스 무료 제공 중 (단, ‘로밍 해지’ 필요)
💥 SK텔레콤 해킹 사건 정리
2025년 4월 18일, SK텔레콤은 내부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데이터 이동을 최초 인지했고 같은 날 악성코드를 발견하며 해킹 공격을 확신했습니다.
하지만 해킹 사고를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에 공식 보고한 건 20일 오후 4시 46분. 이는 법에서 정한 24시간 이내 신고 의무를 초과한 것으로 논란이 커졌습니다.
🔐 유심 정보 유출, 왜 문제인가?
이번 해킹으로 인해 고객의 유심(USIM) 관련 정보 일부가 유출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. 유심 정보가 탈취되면 해커가 복제폰을 만들어 피해자 명의로 금전 범죄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.
SKT는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은 안전하지만, 미가입 고객은 특히 휴대폰이 꺼져 있을 때 위험하다고 밝혔습니다.
✅ 고객이 지금 해야 할 일
🔹 유심 보호 서비스 즉시 가입
해킹 피해를 예방하려면 반드시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해야 합니다.
📍 가입 링크
➡️ T월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입하기
안녕하세요, T world입니다.
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.
www.tworld.co.kr
또는 T월드 앱에서 ‘유심 보호’ 검색 후 가입 가능합니다.
📱 또는 114 고객센터,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신청 가능!
단, 해외 로밍 요금제가 켜져 있는 경우 가입 불가
→ 가입하려면 로밍 해지 후 가입 가능
📢 잇섭도 비판한 “불편한 가입 조건”
구독자 264만명의 IT 유튜버 잇섭은 직접 가입을 시도한 뒤 다음과 같은 불만을 제기했습니다.
“해외 자주 나가는 입장에서는 로밍 해지를 해야 가입할 수 있다는 건 대안이 될 수 없다.”
해외 로밍을 유지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유심 보호 서비스는 사실상 이용이 제한적이라는 것입니다. 사용자 입장에선 불편한 보안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.
🔍 왜 논란이 커졌나?
- 법적 신고 기한 초과 – 24시간 내 의무 위반
- 사고 대응 늦음 – 고객 안내도 지연
- 보안 서비스 가입 조건 불친절 – 로밍 해지 필요
- 불안 커진 와중에도 적극적 안내 부족
📌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대상자
- SK텔레콤 이용자
- SKT 망 사용하는 알뜰폰 고객도 포함
(예: SK세븐모바일, 토스모바일, 프리텔레콤, LG헬로비전 등)
해당 고객은 각 통신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서 가입 가능하며, 순차 확대 예정입니다.
🤝 고객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
-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!
- 특히 휴대폰을 자주 끄는 사용자, 해외 자주 나가는 분은 주의 필요
- 지금 바로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으로 안전 지키세요
안녕하세요, T world입니다.
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.
www.tworld.co.kr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🔒 SK텔레콤 해킹 피해, 구제 방법은? 피해자 대응 가이드 총정리
🔒 SK텔레콤 해킹 피해, 구제 방법은? 피해자 대응 가이드 총정리
📌 사건 요약 2025년 4월 18일: SKT 해킹 최초 인지유심(USIM) 관련 고객 정보 일부 유출 정황 확인일부 고객, 복제폰 통한 2차 피해 우려SKT “고의는 아니었다” 해명…하지만 24시간 신고 의무 위반
jjung1230.tistory.com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📢 모르면 당한다! 통합신고대응센터가 추천하는 보이스피싱 예방법 (0) | 2025.04.28 |
---|---|
🔒 SK텔레콤 해킹 피해, 구제 방법은? 피해자 대응 가이드 총정리 (1) | 2025.04.25 |
🏠 공인중개사, 임장비 도입 추진…계약 전에도 비용 낸다고? (0) | 2025.04.24 |
디스커버리 펀드 피해자 구제…금감원, 기업은행에 최대 80% 배상 결정 (0) | 2025.04.23 |
서울 미아역 마트에서 벌어진 흉기 난동 사건…60대 여성 사망 충격 (0) | 2025.04.23 |